삶의 잔잔함
아부지....(퍼옴)
밤나무골
2007. 1. 31. 15:10
기억(記憶) 저 편의 아버지께 드립니다! |
아버지! |
아버지가 못 견디게 그립습니다. |
불혹(不惑)의 중반에 선 막-둥이가 그립고 보고픈 아버지께 |
용서를 비 오며 부디 저버리지 마시고 등불 되어 인도하여 주십사 떼써 듯 하소연해 봅니다. |
오월! |
해마다 오월이면 아버지의 모습이 다시금 절절이 생각납니다. |
제 나이 스물 두 살이었던 이십 이 년 전 그 해, |
오월의 아버지 모습을 잊을 수가 없습니다. |
그리도 인내하시며 당당하시고 말씀 없이 침묵하시던 아버지! |
연세가고희(古稀)를 넘긴칠십사세의시점,조국의부름을받은 까까-머리 막-둥이 |
군(軍)입대배웅차, 동리 어귀 논두렁 언저리에 앉아 빨리 가라 깡마른 손 내어 저으시며 |
돌아서서 보이지 않으려 했던 아버지의 눈물을 볼 수밖에 없었던 |
주름진 얼굴과 뒷모습은 지금도 차마 잊을 수가 없습니다. |
그것이 아버지와의 마지막 작별(作別)이 될 줄은 꿈에도 생각지 못했고 |
철부지 막-둥이 그렇게 아버지와의 작별을 고하고는 영원(永遠)한 아버지와의 작별이 되어 |
어느 덧 이십 이 년이 지난 세월 앞에, 힘들고 지친 거부할 수 없는 현실 앞에 |
힘을 부여 해 달라 목메어 아버지를 부르며 뜨거운 눈물 흘립니다. |
흔들림이 없어야할 불혹(不惑)에 덕(德)이 모자라, 인내(忍耐)가 부족하여 |
아버지를 부여잡고 싶은 처절한 심정이랍니다. |
아버지! 용서하세요. |
아버지 먼저 가시고 어머니를 제대로 봉양치 못해 쇠약해져 |
팔십 넷의 연세에 배채우기 바쁘던 지난날 보다 풍요(豊饒)롭고 좋은 세상곱게지나지못하시고 |
삼년 째 눈이 멀어 활동력을 잃고 누워만 계신 어머니를 보노라면 자꾸만 눈물이 앞서 옵니다. |
삼년이란 시간은 저를 키워주신 이십 여 년과는 비교해서도 비교될 수도 없지만 |
겨우 삼년을 모시고 힘들어하는 이 못난 자식, |
아버지의 날카로운 마음으로 인생의 매를 한없이 맞고 싶은 심정뿐입니다. |
온통 하얀 머리, 주름진 얼굴, 검정 고무신, 지게...... |
그리고 막걸리 한잔에 취하시어 부르시던 진양-조(調) 한 가락 |
- 돈 나고 사람 낳야? 사람 낳고 돈 나지! - |
아버지에 대한 추억과 기억은 생생히 남아 있지만 |
저 또한 아버지 가신 길을 가게 될 때까지 잊을 수 없는 것은 |
마지막 임종의 순간은 뒤로 하더라도 생(生)의 끝! |
흙으로 돌아가는 마지막 길도 보지 못했기에,아버지에 대한 아픈심사 가슴깊이 남아 있지만 |
아버지 살아 어머니 말벗되면 이토록 힘들어하지 않을 것이라는 |
막연한 아쉬움에 다시금 부르고 또 불러 봅니다. |
아버지 떠나시고 이십 이 년! |
그리 흘러간 세월에 막-둥이도 또한 처자식 거느린 가장이지만 |
요즘처럼 아버지가 그립고 보고 싶은 날은 없었는 듯 합니다. |
삼년 째, 두 눈 멀어 빛을 잃으신 어머니를 모시며 |
지난 날 이 막-둥이 아버지와 그리 이별하고 아버지께 못 다한 자식의 도리를 |
어머니께 더더욱 정성을 다하고자 하지만, 나날이 심해지는 어머니의 투정과 치매(痴呆)등으로 |
생활에 더해가는 굴곡은 나날이 강도를 더해가고 어머니 투정 짙을 수 록 굳은 마음도, |
다졌던 정성도 약해지며 날로 미워지기만 하는 어머니를 어찌해야 하나요? |
아버지! |
아버지가 보고프고 그리워 이 자식 눈물짓지만 용서해 주세요. |
지난 날 객지(客地)생활을 하다 고향집을 가노라면 이른 시간이나 자정이 넘은 늦은 시간이나 |
언제나 아궁이 불 지펴 새 밥, 따뜻한 밥을 지어 내놓으시던 |
어머니의 막-둥이에 대한 사랑과 정성을 잊지 않고 있지만 |
그 한없는 사랑에 보은으로 다 채워드리지 못하고 어머니의 투정에 |
마음의 갈등과 미움이 앞서는 이 아들, 참으로 못났지요? |
한결같은 정성으로 혼(魂)을 다해서 오로지 자식을 위해 베풀고 보담아 주시며 |
키워주신 어머니이거늘, 겨우 삼년을 모시고 힘들어 하니 참으로 이 아들 미웁지요? |
낳고 기른 정(情) 세상 무엇과도 비교할 수도 비교될 수도 없지만 |
자꾸만 더해가는 어머니의 알 수 없는 투정에 화가 나고 |
다정보다는 큰소리가 목줄을 더해가니, 참으로 비통(悲痛)한 심정입니다. |
아버지 ! |
삶에 있어 모든 것은 경험하며 지나봐야 진정한 의미를 안다는 것처럼 |
살아생전 아버지의 지고한 뜻도, 어린애인양 과자 달라보채는어머니의인생역정(歷程)도 알지만 막-둥이 너무 힘들고 지쳐 슬피 탄식(歎息)하는 나날입니다. |
어머니 살아계신 날까지 마음과 정성을 다해 자식의 도리를 다하리라 다짐하지만 |
나약한 인간이기에 시시(時時)로 힘에 부쳐 지치는 자신을 봅니다. |
아버지! 도와주세요. 힘 좀 실어 주세요! |
막-둥이 군에 보내놓고 걱정하셨지만 벌써 강산이 두 번 변한 이십 이년이란 세월이 흘러 |
중3과 초3인 두 아들 착하고 도덕적 인생을 살려 열심이기에 제 마음 한량없고 |
처 또한 삼시 어머니 끼니 모시는데 내색 없지만 |
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은 하늘에 닿아 가슴 저린 날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|
그 누구에게도 하소연할 수 없어 |
이렇게 하늘나라에 계신 아버지께 남모를 슬픔과 통곡을 하염없이 쏟아 붓고 싶습니다. |
아버지 정녕! 힘 좀 실어주세요. |
어머니 남으신 여생(餘生)편하게 향유(享有)하시고 평온(平溫)히 막-둥이 곁을 떠날 수 있도록 |
아버지 부디 등불 되어 인도(引導)하여 주소서. 푸르른 오월에 아버지께 간절히 빌어 봅니다. |
-- 2004. 5월. 하늘나라에 먼저가신 아버지를 그리며 지상(地上)에서 막-둥이가 --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