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양유 정보

[스크랩] 산양유통의 문제점과 대책

밤나무골 2009. 3. 16. 13:34
2. 산양(흑염소) 유통의 문제점과 대책


문 제 점 대 책
- 약용중심의 생체유통이 대부분 - 이는 흑염소 산업의 한계성이기도 하다. 그러나 육용 염소를 개량하여 재래흑염소 사육과 육용염소 사육이라는 2가지 사육방향을 견지해야 한다.
재래 흑염소 사육자는 사육보증 등록제도를 실시하고 관리를 철저히 하도록 하며 다양한 상품을 개발하여야 한다.
- 부정육 유통의 극심 (수입육→국내산)(잡종염소→재래흑염소) - 이는 흑염소 산업의 한계성이기도 하다. 그러나 육용 염소를 개량하여 재래흑염소 사육과 육용염소 사육이라는 2가지 사육방향을 견지해야 한다.
재래 흑염소 사육자는 사육보증 등록제도를 실시하고 관리를 철저히 하도록 하며 다양한 상품을 개발하여야 한다.
- 전문가축시장의 전무(상거래질서 문란, 무자료유통 성행) - 권역별로 염소전문시장을 마련하여 상장거래를 해야 함
- 전문도축장의 전무로 비위생적인 도축 - 약용염소는 기존도축장내에 간이도축시설물을 설치하여 도축하고 육용염소는 현대식 종합처리장을 설치하여 도축하도록 함
- 전문 식육도소매점이 없다 - 재래흑염소는 체구가 왜소하여 정육생산량이 적다. 따라서 대형종인 육용염소를 개량하여 농가에 보급하였을 때 가능
- 소비자가 국내산과 수입산을 식별할 수 없어 원산지 표시제의 실천불가 - 염소고기, 산양육, 양고기를 구분할 수 있도록 육질의 맛, 향기, 색 등을 홍보하고 원산지표시제의 강화와 감시를 철저히 한다.
- 소비의 다변화 시급 및 홍보부족 - 증탕액외에 엑기스, 드링크제, 통조림, 요리, 햄, 소시지 등을 개발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홍보하도록 한다.
- 관련기관 및 학계, 연구 기관 등의 관심 부족으로 전용약품이나 기자재 생산 빈약 - 다두사육으로 인한 각종 질병의 발병으로 사양곤란 계획적인 사양관리와 질병예방 및 치료에 필요한 지원을 받도록 해야 한다.
- 생산농가의 영세성과 생산자단체의 참여도가 낮음 - 전업농으로 전환하고 생산자단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생산과 소득기반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
- 지역별 유통가격의 변이 심각 - 생산자와 관련협의체가 협의하여 지역별 유통가격을 단일화 시킴
출처 : 축산21
글쓴이 : 팬저 원글보기
메모 :